내가 글을 쓰는 것 좋아하는 이유
·
[내삶내맘] 일상
회사에서 스카이프로 외국에 있는 분과 회의 할 일 있었는데 스카이프 비번이 기억이 안나서 메일로 비번을 찾았다. 비번을 보려고 들어간 예전 메일에는 내가 좋아하는 분들에게 썼었던 글들이 먼지를 뒤집어 쓴 체로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무심코 읽어본 글에 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떻게 살고 있었는지... 글을 쓸 그 당시의 그대로 감정이 담겨 있었고.. 그 글들을 읽을 때마다.. 그때의 기억들이 오래된 흑백영화가 재생되듯이.. 흐릿하고도 아련하게 떠올랐다. 20살때 썼던 글은 채팅채가 난무하는 그런... 초딩 스러운 글(?) 이지만 열정이 있었고 거침이 없었다. 아마도 그때가 엽기적인그녀가 유행했을 때가 아닌가 싶다. 27살 때는 나름 사회에 관한 글을 나름대로의 주관을 가지고 썼었고 28살에는 영화 감상평..
It is soft on the people, hard on the problem.
·
[내삶내맘] 일상
캬~~! 이 얼마나 좋은 말인가... 문제에 본질에 집중 하라는 뜻이 아니던가... 이 글은 Getting Past to No.라는 요즘 보고 있는 유명한 협상 관련된 책에 나오는 글 중 하나이다. 협상할 때 사람에게는 부드럽게 대하고 문제를 파고 들라는 말인데 참으로 도움이 되는 말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일상에서 맨날 협상을 경험한다. 부모님.. 직장상사... 친구들....! 예전에 갈등이 일었었던 많은 경험을 돌이켜 보며... 이 글의 뜻을 생각해보았다. 아.... 내가 문제에 집중하지 못해서 그런 갈등이 생겼었구나. 문제에 집중하였다면 그 때 갈등은 쉽게 해결 되었겠지?........................................ 라고 생각이 들어야 맞는 거 겠지만.... 내 경험 상..
나는 " 보통의 존재 "
·
[내돈내산] 책
올해의 어느 날, 어떤 분이 나에게 말했다. "보통의 존재라는 책이 있는데.... 난 니가 그 책을 읽고 어떤 느낌을 받을지 너무 궁금해." 그런 이유로 읽기 시작한 책이 "보통의 존재"란 책이였고 나는 지금까지 이 책을 두번 읽었다. "보통의 존재"라는 책은 좋지만 착하지만은 않은 글로 채워진 책이다. 좋은 글을 판단 하는 많은 기준들이 있겠지만 내게있어 좋은 글이란 바로 공감이 가는 글이다. 내가 읽은 "보통의 존재"라는 책은 시리도록 내 가슴에 와 닿았다. 표지는 보는 바와 같이 따듯한 노란색이다. 처음에 표지를 보고 아.. 마음 따듯해지는 글들로 채워진 그런 종류의 책인가 보다라고 생각을 했으나... "보통의 존재"의 내용은 가슴시린 하늘색이다. 물론 사람마다 읽고나서 느낀 점이 다르겠지만 내가 ..
어른이 된다는 것...
·
[내삶내맘] 일상
누구나 다 그렇겠지만... 어렸을 때는 얼른 커서 어른이 되고 싶었다. 내가 받은 세뱃돈을 어머니와 나누어 가지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기에 생각 했기에... 그러나 어른이 된 지금은 누구도 나에게 세뱃돈을 주지 않는다...ㅡㅡ;;; 내가 어른이 되면서 잃어버린 건 동그란 종이딱지,팽이와 불량식품을 마음것 사먹을 수 있는 세뱃돈뿐만이 아니라.... 내가 그리 소중하게 여기고 변하지 않기를 바랬던.. 내 순수한 마음도 잃어버린 것 같다. 고등학교때 나에게는 두가지 보물이 있었다. 하나는 작은 일에 웃고 서로를 챙겨주는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울 어무이와 내 귀여운 동생, 즉 내 가족이고 다른 하나는 나름 순수했다고 생각 했던 내 마음이다. 항상 작은 것에 감사하고 무엇을 하던지 즐길수 있게 만들었던 내 마음..
내겐 없었던 그것....
·
[내돈내산] 책
- 입사 후 3년과 일본 전산이야기를 읽고서 - 2010년 12월 7일, 나는 사회에 첫발을 내 디뎠다. 그 때 당시만 해도 내 머리 속에는 회사에서 열정적으로 일하며 내게 주어진 일을 척척 해내고 인정 받는 사원이 되는 내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정말 많은 실수들을 했다. 오타는 기본이요, 상사가 시키는 간단한 문서 작성조차 마음에 들게 하지 못하는 그런 준비되지 않은 신입사원이 바로 나였다. 물론 회사 입사에서 하는 업무들은 신문사와 지역 방송국에서만 인턴을 해본 나에게는 전부 처음 접하는 생소한 일들이었다. 하지만 회사에서 그런 것들은 변명이 될 수가 없었다. 내가 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함으로 인해 내 자신에게만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 직장동료들 그리고 관계사들까지 피해가..